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산전검사 항목

반응형

산전검사 항목




안녕하세요:) 의학이 발달하면서 임신 중 검사인 산전검사는 조금 더 확대되어 임신 전 검사로도 많이 받고계시는데요. 보건소에서도 진행하고 있어 결혼 전에도 검사 받으시는 예비부부들도 많이 계십니다.



뭔가 산전검사라고 하니 굉장히 뭔가 부담감과 책임감이 생각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임신과 관련해 필수인 산전 검사란 무엇인지, 항목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등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산전검사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이 어떤지, 임신 전이나 초기에 확인하는 모든 종류의 검사를 말합니다.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여성, 남성이 기본적으로 임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나 태아 기형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검사기도 합니다.


크게 임신 전 산전검사와 임신 중 산전검사로 나뉘고, 일반적인 산전 검사로는 혈액검사 소변검사로 당뇨, 풍진 항체, 에이즈 등을 체크합니다. 임신 중 태아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주수 별 산전 검사과정도 존재해 선천성 기형아나 유전자 질환 여부를 파악하는 통합적 검사가 있습니다.


산전검사 항목 - 임신 전 검사





임신 전 검사항목은 혈압 측정, 혈액검사를 통한 혈당, 매독, 에이즈, B형간염, CBC, 간기능, 신장기능, 총 콜레스테롤, 풍진 검사를 합니다. 흉부 x-선 촬영으로 결핵 유무를 확인합니다. 결혼 전이나 임신 계획 중인 부부가 다 검사 받을 수 있습니다.


산전검사 항목 - 임신 중 검사


1~2개월(4~8주): 빈혈검사, 혈액형 검사, 혈청(성병)검사, 간기능 검사, 간염검사, 소변검사 등

2~3개월(8~11주): 풍진 검사

3~5개월(11~19주): 초음파로 정확한 분만 예정일 결정

4~5개월(16~19주): 기형아 검사 (태아 단백검사, 틀리플마커 검사)

6~7개월(24~28주) 임신성 당뇨 검사


산전검사 항목 - 혈액 검사



일반혈액검사와 간염, 매독, 에이즈, 풍진항체, 소변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바이러스 질환에 대한 항체 유무를 확인하고 없는 경우 예방접종을 해야합니다. 풍진에 걸리면 기형아를 유발하고, B형간염일 경우 간 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혈액형 RH인자 및 불규칙 항체를 검사하고, 특이 항체가 있을 경우 산전관리 동안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빈혈 유무에 따라 철분보충제를 복용하게 됩니다.


산전검사 항목 - 태아 목덜미 투명대 검사





태아 목 뒷부분과 피부 아래 투명대의 두께를 측정하는 겁사입니다. 초음파를 통해서 검사하며 임신 11주~13주 6일 사이에 시행하게 되고, 11주 이전 태아는 너무 작아 어렵고, 14주 이후 태아는 림프계가 발달하면서 목 뒷부분 액체가 흡수되 검사가 불가능 합니다.


임신 11주 경에는 2mm이하가 정상범위이고, 13주 6일에는 3mm이하가 정사 범위에 해당됩니다.


산전검사 항목 - 기형아 검사



기형아 선별 검사는 임산부의 혈청을 이용해 태아의 염색체 관련 유전질환을 미리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 파타오 증후군, 무뇌증, 척추이분증 등 신경관 결손증에 대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 고위험군으로 판정이 내려지면 양수검사와 융모막 검사를 통해 태아의 세포를 직접 채취해 분석하는 확진 검사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임신 초기인 10~13주, 임신 중기인 14~22주에 2회 실시하고 95%의 높은 정확도를 나타냅니다.


산전검사 항목 - 양수 검사





기형아검사와 관련 없이 15~20주 사이에 양수검사를 시행하고, 안전한 침습적 산전진단 방법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양수를 채취하게 됩니다.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초음파로 태아의 위치를 확인 후 검사부위를 호가인한 다음 피부에 긴 바늘을 직접 찔러 양수를 뽑아냅니다.


산전검사 항목 - 정밀 초음파 검사


초음파 기계를 이용해 태아가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지, 구조적 기형이 있는지, 태반의 위치 등을 파악합니다. 임신 중기인 20~24주 사이에 시행하게 됩니다. 태아의 두부, 얼굴, 팔, 다리 등을 확인해 기형 유무를 세밀하게 관찰하여 의료진을 통해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산전검사 항목 - 임신성 당뇨 검사



임신중에는 당대사의 생리학적인 변화가 과장되어 당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신 24~28주에 시행하고 2단계 검사법과 75g 경구당부하 검사로 나뉩니다. 임산부에게 당뇨가 있으면 간염, 자간전증, 양수과다증, 난산위험, 신생아 기형, 당뇨 및 사망률이 높아집니다.





생각보다 정말 많은 검사들이 있습니다. 34주 이후의 임신 후기에 하는 태아안녕검사나 일반 혈액검사가 더 있기도 하는데요. 산전검사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산전검사 항목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