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광복절 뜻 의미 알아보기

반응형

광복절 뜻 의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8월이 되면 8월 15일 광복절이 떠오릅니다. 법정공휴일이다 보니 쉬는날로도 많이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하지만 광복절은 굉장히 뜻 깊은 날이라는 것도 모두들 알고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광복절을 앞두고 그 의미를 다시 되새겨보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지금의 한국을 있게 한 광복절에 대해서 광복절의 뜻과 그 의미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광복절이란?





광복절이란 우리나라가 1945년 8월 15일에 일본에서 벗어나 독립한 날과 1948년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날을 축하하고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날 독립과 관련되어 의미가 있는 독립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기념행사가 개최되며, 타종행사가 보신각에서 열립니다.


광복절 의미


광복절은 '영예롭게(光) 되찾음(復)'이라는 부사적 해석으로 쓰이는 광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주권을 영예롭게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더불어 해방 3년 후 8월 15일에 우리는 역사상 가장 뜻깊은 대한민국이라는 이름의 '우리나라'를 갖게 된 날이기도 합니다.


광복절 태극기 게





국경일 및 기념일, 조의를 표하는 날에 따라 계게양 방법의 차이가 있지만 집 밖에서 바라볼 때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하는 게 원칙입니다. 5대 국경일과 국가 기념일에는 태극기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태극기를 게양합니다.


반면 현충일과 국가장 기간 등 조의를 표하는 날에는 태극기 깃면의 세로너비만큼 내려 게양하는 조기를 내겁니다. 태극기는 보통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게양하고, 학교나 군부대는 낮동안만, 동절기에는 오후 5시까지 게양하도록 합니다. 눈, 비, 바람 등이 심하면 게양하지 않습니다.


광복절 국경일 제정





1949년 6월 당시에는 4대 국경일로 삼일절, 헌법공포기념일, 독립기념일, 개천절이었습니다. 여기서 독립기념일은 대한민국이 건국된 날을 일컬은 것이었으나, 1949년 9월 국회에서 독립기념일도 oo절로 통일하자 하여 광복절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2020년 광복절 대체공휴일



올해 2020년은 광복절 7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건국 72주년이자 광복 제 75주년을 맞아 많은 지자체와 기업에서 행사를 진행합니다. 타종행사 부터 언택트 마라톤, 독서문화 행사 등 다양한 행사에 참여하여 그 의미를 느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올해 광복절은 코로나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원래는 토요일인 8월 15일 광복절 대신 8월 17일 월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여 코로나 19로 주춤했던 내수 시장을 활성화시키겠다는 의도로, 코로나 장기화로 지친 국민들에게 휴식시간을 주고싶어하는 정부의 뜻도 있었습니다.


광복절 특별사면





사면은 헌법과 사면법에 근거해 죄를 용서하고 형벌을 면제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사면에는 사면, 감형, 복권이 포함됩니다. 사면은 특정 범죄의 종류를 지정해 그 죄목에 해당하는 범죄를 저지를 모든 사람에게 형 선고자체를 소멸시켜주는 일반사면이 있습니다.


특별사면은 형을 선고받은 사람 가운데 대통령이 특정인을 지정해 실시하는 사면입니다. 2017년부터 2019년 까지 3년간 광복절 특별사면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2019년 법무부에서 모범수형자, 생계형 사범, 사회적 약자 등을 중심으로 가석방이 이루어졌습니다.





광복절은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날이기도 합니다. 어떤 의미든 현재의 대한민국을 있게 해준 모든 분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는 날이 되었으면 합니다. 최근 코로나 대처로 한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에 대한 자긍심을 더 가져도 좋겠습니다.


그럼 이만 광복절 뜻 의미 알아보기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