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로웨이스트 알아보기

반응형

제로웨이스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올해 여름은 유난히도 길었던 장마와 많이 찾아온 태풍과 같은 기상이변으로 피해를 입은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렇다보니 기상이변이 잦아진데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하여 많은 환경문제에 관심이 생기신 분들도 많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개인이 작게나마 실천할 수 있는 환경 개선에 관련한 제로 웨이스트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로웨이스트란 무엇이며, 제로웨이스트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 제로웨이스트에 도움이 되는 물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환경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는 것 부터 시작하여 내가 실천할 수 있는 재활용, 분리수거와 더불어 제로웨이스트도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로웨이스트란?





제로웨이스트란 영어로 zero-waste로 모든 생산품, 포장 및 자재를 책임있게 생산, 소비, 재사용, 회수함으로써 환경과 인류의 건강을 해치는 쓰레기 소각 및 땅, 물, 공기에 버리는 쓰레기를 없애고 모든 천연자원을 보존하는 것을 말합니다.

근본적으로 쓰레기 자체를 만들 일을 차단하는 생산 및 소비 사이클을 추구하는 겁니다. 전세계적으로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소비자뿐 아니라 기업도 관심을 두고 디자인과 제품 생산 과정에서 많이 실천하고 있습니다.


다섯가지 실천법





2006년부터 15년간 쓰레기 없는 생활을 실천한 제로웨이스트 실천가인 베아 존슨의 다섯가지 원칙에 따라서 적용할 수 있는 실천법을 먼저 알고 가겠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 비닐봉지, 빨대, 사은품 거절


잠재적으로 쓰레기가 될 수 있는 일회용품은 받지 않습니다. 마트에서 주는 비닐봉지, 카페에서 주는 빨대, 호텔에서의 일회용 어메니티 같은 것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장을 보러 갈 때는 작은 에코백이나 그물 백을 가져가 대체해 필요없는 것들을 줄여가는 겁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 버리기 전에 줄이기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들이나 필요 없는 것들을 줄이는 것도 제로웨이스트의 한 방법입니다. 쓰레기를 배출하지 않도록 쓸만한 것들을 미리 정리해 나눠주면 자원이 순환됩니다. 집에 있는 것들을 최소한의 것들만 남겨두면 불필요한 것들을 사지 않아 쓰레기가 생기지 않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 다회용품 사용하기


페트병 대신 유리병,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품으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새로운 제품을 살 필요없이 유리병을 열탕소독해 재사용하는 것도 좋고, 집에 있는 플라스틱 밀폐용기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깨끗한 것들을 골라 사용합니다. 핸드타월 대신 손수건 사용도 좋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 중고마켓 활용하기





집에 줄인 것은 많지만 필요한 것들을 사야하게 된다면 중고마켓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생각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에 좋은 물건들을 만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것들을 팔면서 용돈이 생기기도 하니 일석이조기도 합니다.


제로웨이스트 실천 - 생분해용품 사용


쓰레기를 줄여나가는 방식으로 소비패턴을 바꾸는 것도 좋습니다. 쇼핑할 때 라벨을 꼼꼼히 읽어 '생분해'라고 적혀있는 포장이 된 제품을 고르는 것도 좋습니다. 생분해는 다른 쓰레기보다 잘 썩어 환경에 부담을 줄여줍니다.


제로웨이스트 대체품





개인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일상생활 속 제로웨이스트 대체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회용

대체품

플라스틱 칫솔

대나무 칫솔 

냅킨, 휴지 

손수건 

주방세제 

설거지비누 

샴푸, 비누, 치약

샴푸바, 고체비누, 고체치약

수세미, 샤워타올

천연 수세미, 삼베수세미 

비닐봉지 

리유즈백, 에코백 

플라스틱 빨대 

실리콘, 스테인리스, 대나무 빨대 등 

일회용 생리대 

면생리대, 생리컵 

화장솜

다회용 면 화장솜 

커피필터 

면 커피필터 

일회용 면도기

스테인리스 면도기 

포장용기

도시락통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것은 환경에는 매우 좋지만 개인적으로는 평소 생활하던 것보다는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환경은 계속 파괴되고 있고, 지금의 어린아이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살 수 있도록 어른들이 도와줄 수 있도록 노력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당신을 위한 컨텐츠




글에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눌러주세요. 글을 쓰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